-산부인과클리닉-여성암 클리닉


 자궁 경부암 자궁내막암
 난소암 유방암
 자궁근종 자궁내막증
자궁내막증
여성은 가임기 동안 일정한 주기로 자궁내막이 주기적으로 성장 및 쇠퇴를 반복하는 생리 주기를 겪게 됩니다.

자궁내막증은 이러한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 외 부위(골반장기와 복막 등)에서 주기적인 활동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로써 장, 방광, 요관 등의 유착을 초래하며 골반통 및 불임과 연관될 수 있습니다.

제 자리를 찾지 못한 자궁내막!
자궁 내막증은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에 의존적이며 그 원인에 대하여는 '이식설'과 '면역설'을 들 수 있습니다.
생리 기간 중에 자궁내막세포가 역류되어 골반내로 들어가서 자궁내막증이 발생된다는 이식설은, 그러나 많은 여성들이 실제로 생리혈 역류를 경험하지만 모두가 다 이 병으로 이환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설명하는 데 아직 부족합니다.

또한 면역설은 면역 체계의 이상으로 자궁 내막증이 생긴다는 것입니다.

없던 생리통이 생겼을 경우, 생리통이 심할 경우 의심해야…
자궁내막증의 가장 흔한 증상은 생리와 함께 혹은 생리 직전에 수반된 골반통이나 요통입니다.
성인 여성의 경우 없던 생리통이 발생하면 자궁내막증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으며, 초경 이후 한 번도 빠짐없이 생리통을 겪는 경우도 있습니다. 생리통 이외에도 유착된 골반조직의 긴장이나 압박으로 인한 성교통은 역시 종종 나타나게 됩니다.

불임과의 연관성
자궁내막증으로 자궁내막이 골반강으로 침범하면 골반강 내의 면역 작용으로 대식세포가 활성화 됩니다.
이로 인하여 대식세포는 침입된 자궁 내막 세포를 잡아 먹을 뿐만 아니라 정충까지 탐식하여 불임을 야기 하게 됩니다.

또 염증 반응이나 유착으로 인해 나팔관의 움직임이 제약을 받아 난소에서 난자가 배란되기 어려운 경우도 생깁니다.
따라서 자궁 내막증이 치료되면 임신율도 증가합니다.
그러나 자궁내막증과 자연 유산의 관계는 확실치 않으며 아직 연구중에 있습니다.

자궁내막증은 복강경 수술과 약물로 치료한다.
자궁 내막증의 진단은 복강경을 통해 병의 원인이 되는 요소를 확인한 후 일부 조직을 떼어내 조직 검사를 해야만 비로소 자궁내막증이라는 진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진단 후 골반강 내의 유착을 복강경 수술로 제거한 후 약물 요법 등을 진행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복강경 수술, 보존적인 개복수술, 전자궁적출술 등을 자궁내막증의 병기에 따라 신중하게 선택하게 됩니다.
치료 결정에 중요한 요소는 향후 임신 여부, 자각증상의 심한 정도, 환자의 연령, 자궁 내막증의 병기, 골밀도, 골반강 내 유착 유무, 이전 치료병력 및 합병증 유무 등을 고려하게 됩니다.